중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하여
중국은 영토가 넓고 다양한 지리적 특성으로 지역별 차이가 매우 크다.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약 960만km2로 한반도의 44배에 달한다. 따라서 각 지역별로 기후 및 문화 풍습 등 모든 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먼저 베이징에서는 주로 밀농사를 짓고 겨울엔 영하 30도까지 내려가는 추운 날씨 탓에 난방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그리고 상하이는 여름 기온이 40도 가까이 치솟아 에어컨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하다. 또 광둥지역은 아열대 기후여서 일 년 내내 따뜻한 편이고 습한 환경 탓에 벌레가 많아 모기장 사용이 필수다.
마지막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사막 지대라서 물 부족 국가라는 오명을 갖고 있다. 이렇게 넓은 땅덩어리만큼 각양각색의 특징을 지닌 중국이지만 공통점도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중화사상이다. 물론 지나친 국수주의는 경계해야겠지만 자국문화에 대한 자부심만큼은 본받을 만하다.
중국지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서고동저(西高东低)의 계단식 지형이다.
지리학계에서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 발상지로 황하강 유역을 꼽는다. 이곳은 고대 4대 문명 가운데 하나인 황하문명이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인류 최고의 문화유산이자 살아있는 교과서로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다만 안타까운 점은 현재 그곳엔 아무도 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기원전 3000년경까지만 해도 인구 1억 명이 넘는 대도시였지만 지금은 사막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사실상 폐허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은 아직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언젠가 환경이 복원되면 다시금 찬란한 문명을 꽃피울 수 있으리라는 믿음 때문이다.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불가능한 일도 아닐 것이다. 어쩌면 머지않은 미래에 옛 영광을 되찾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날이 오면 반드시 직접 가서 확인해보고 싶다.
중국지형의 또 다른 대표적인 특징은 표고차가 크고 그 지형이 다양하다는 것이다.
먼저 중국대륙은 크게 동부, 중부, 서부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쪽으로는 태평양 연안에서부터 서쪽으로는 티베트 고원까지 길게 뻗어있다. 그리고 각 지역별로 기후 및 자연환경이 상이하여 서로 다른 특색을 지닌다. 우선 동부지역은 연강수량이 500mm 이하로 건조하지만 여름 기온이 높고 겨울엔 춥지 않다. 따라서 벼농사보다는 밀 농사가 발달했으며 화북지방에서는 옥수수 재배도 활발하다.
다음으로 중부지역은 위도 상 열대계절풍기후에 속한다. 연중 강수량이 풍부하고 계절별 온도 차이가 크지 않아서 농업이 발달했다. 주로 쌀·밀·옥수수·콩 등을 생산하는데 주요 농작물로는 면화·사탕수수·목화·땅콩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서부지역은 고도가 높은 고산지대여서 초원 지대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곳에선 유목 생활을 하며 양고기와 우유를 주식으로 삼는다.
중국 경내에는 세계 최고봉인 초모룽마봉을 비롯한 8,000m 이상의 높은 봉우리가 7개나 있는가 하면, 신강의 투르판분지에 있는 아이띵호(艾丁湖)는 해면보다 154m가 낮아서 그 표고차는 9,000m에 달하는데 이러한 표고차는 세계에서 달리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중국의 지형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가지 지각변동을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종횡으로 뻗어있는각종 산지, 광활한 고원, 한없이 넓고 평탄한 평원, 고도의 크기가 다른 분지와 구릉 등 매우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분포 상황을 보면, 동반부는 북부의 장백산 · 흥안령 · 태항산과 황토고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형이 평탄한 동북평원 · 화북평원과 광활한 내몽고 고원이고, 진령- 대별산 이남은 대부분 구릉과 분지이다. 운귀고원 일대는 고원이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지형의 기복이 심하다. 난주(蘭州)-곤명(昆明) 이서의 서반부는 기본적으로 히말라야산 · 곤륜산 · 천산 등과 같은 해발 3,500m~5,000m 이상의 고산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그 사이에 청장고원과 타림분지(塔里木盆地) · 즁갈분지(准噶爾盆地) 등이 놓여 있다.
북서부는 건조한 사막지대가 많고 남부는 석회암이 침식된 카르스트 지형을 이루고 있고, 동남의 구릉은 적색토이며, 황하 이북에는 황토가 널리 분포되어 있고, 동북의 평원은 부식토질의 흑색토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장강 · 황하 등 대다수의 강은 지세에 따라 서에서 동으로 태평양으로 유입되고 있으나, 노강(怒江)처럼 남으로 흘러 인도양으로 유입되는 강이 있는가 하면 신강의 엘데인강 처럼 북으로 흘러 북극해로 유입되는 강도 있다.
아시아 최대 온라인 여행사 트립닷컴에서 중국 등 항공권 최저가 검색 등 여행 전반의 정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인터넷을 제대로 하려면 VPN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수한 VPN 서비스들을 소개합니다.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 NordVPN은 중국에서 한국으로 설정하여 네이버, 구글, 유튜브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2019년 가장 빠른 VPN 선정 IvacyVPN도 있습니다.
가장 쉬운 중국 직구는 알리익스프레스가 유명합니다.
'그밖의 중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익 강조 주중대사, 취임직후 주차장 수리로 사익 추구?” 보도의 대사관 입장 (0) | 2022.11.15 |
---|---|
중국 차량 가격, 운전 면허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2.10.27 |
중국 위안화가 일본 엔화를 제치고 세계 4위 통화가 되다 (0) | 2022.09.27 |
중국 바이두 한국 영화 인기 순위 베스트 5 (0) | 2022.09.12 |
중국의 추석, 중추절 이야기 (0) | 2022.09.09 |
댓글